NEWS
동물도 식물도 함께 살아가는 지구가 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ESG경영은 특정한 기업만이 하는것이 아닌 내가 해야 하는 것입니다.
동물도 식물도 함께 살아가는 지구가 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ESG경영은 특정한 기업만이 하는것이 아닌 내가 해야 하는 것입니다.
기후위기가 심각한 건 알겠는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일상 속 친환경 행동이 정말 효과가 있는지 모르겠다고요?
열받은 지구를 식힐 효과적인 솔루션을 찾는 당신을 위해 바로 실천 가능한 기후행동을 엄선해 소개합니다.
서울시내 한 아파트에서 태양광 미니발전소 보급업체가 베란다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낮 기온이 30도를 훌쩍 넘는 본격적인 여름이 찾아오면서 에어컨 트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그때마다 전기료가 걱정이시죠.
지난해엔 9월까지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고, 주택용 전기 요금도 2년 사이 37% 올라서(2022년 1분기 1kWh당 109.2원→2024년 4분기 149.6원) 파장이 특히 컸습니다.
가정 전기료 부담을 낮추고 기후위기를 완화하는 손쉬운 방법이 태양광인데요. 새 정부가 들어서며 확대될 재생에너지 정책, 우리집 '태양광' 설치로 동참해 볼까요.
낮 기온이 33도까지 올랐던 이달 9일 강원 강릉시 초당동의 한 한옥 툇마루에서 시민들이 더위를 피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재생에너지 확대는 실용의 문제, 생존의 문제인데 한국에서는 유독 '이념의 문제'로 치부되고는 합니다.
지난해 전 세계 발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30%인 것과 달리, 한국은 아직 10.5%에 불과한데도 말이죠.
지난 정부에서 후퇴했던 재생에너지 지원도, 앞으로 다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요.
단독주택에 살지 않아도, 별도로 부지가 없어도 아파트 베란다에 쉽게 달 수 있는 '미니 태양광'은 개인도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기후대응 방법입니다.
가로 길이 160~170㎝, 세로 길이 1m 안팎의 445와트(W) 용량 미니 태양광 패널을 하나 달면, 한 달에 45킬로와트시(kWh) 정도 전기가 생산되는데요.
800리터 양문형 냉장고를 한 달 동안 가동할 만한 전력입니다. 패널을 두 개 다는 집도 많습니다. 다만 계절과 날씨, 설치 입지에 따라 집집마다 발전량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미니태양광은 전기를 따로 저장하지는 않고 바로 가정에 공급해, 한전 전력보다 먼저 사용되도록 설계돼 있어요.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패널이 직류 전기를 생산하면, 인버터를 거쳐 교류 전기로 바뀌고, 이후 플러그 콘센트를 통해 전기가 공급됩니다. 발전기는 낮에 자동으로 켜지고, 밤에는 자동으로 꺼집니다.
서울 노원구 월계동의 한 아파트 단지에 구청 지원을 받은 '미니 태양광' 패널이 여러 개 설치돼 있다. 노원구청에 따르면 현재 관내 아파트 10%에 베란다 태양광이 설치됐다. 노원구 제공
서울시 노원구와 경기도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지역 주민이 태양광 설치를 할 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는데요.
노원구 아파트의 10%에 베란다 태양광이 설치됐다고 해요.
2018년에 서울시와 노원구 지원을 받아서 베란다에 미니 태양광을 설치한 노원구민 정유민(가명·48)씨는 "시에서 40여 만 원, 구에서 7만 원 정도 지원하고 자부담금 13만 원을 내고 설치했다"고 했습니다.
정씨는 "2018년 설치 당시 엄청난 폭염이 있었는데, 태양광이 있어 그나마 '누진 구간'에 안 걸렸구나 하는 심리적인 안정감이 컸다"고 회상했어요.
그는 "8년간 패널을 따로 청소하거나 고장난 적은 없고, 가끔 새들이 (패널에) 앉아서 새똥이 묻었나 보기는 하지만 특별한 오염은 없어 그냥 두고 쓰고 있다"고 했습니다.
내가 사는 지자체에 보조금 있나 살피기
2018년에는 서울시 25개 모든 자치구가 베란다형 태양광 설비 지원을 했지만, 2021년 오세훈 시장 당선 후 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현재는 노원구, 관악구 등 일부 구만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노원구청에 따르면 올해 기준 445W 패널 설치 시, 총설치비 95만 원 중 80%는 구청에서 지원하고 주민은 나머지 19만 원만 자부담하면 됩니다.
패널 1개 설치 시 전기료를 가구당 연간 9만 6,000원 정도 아낄 수 있는데, 2년이면 설치비를 회수하고 이후 쭉 전기료를 아끼는 것이죠.
태양광 설비를 설치한 서울의 한 아파트. 연합뉴스
구청 지원으로 2023년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다른 노원구민 조명심(72)씨는 "(태양광 설치로) 아끼는 전기료가 몇 천 원이어도 기름 한 방울 안 나는 나라에서 좋은 일 아니겠느냐"고 말했습니다.
그는 "여름에 에어컨을 편하게 틀어도 6만 원 정도 나온다"고 했습니다.
경기도와 산하 지자체들도 올해 도비 40%, 시·군 40%, 자부담 20%로 분담해 베란다형 태양광 설치비를 지원하고 있는데요.
매달 300~400kWh 정도 전기를 쓰는 집이라면 월에 1만5,000원(연 18만 원) 정도를 아낄 수 있다고 해요.
도 관계자는 "2022~2024년 3년간 총 3,433가구에 미니 태양광을 지원해 발전용량 2메가와트(MW)를 확보했다"며 "연간 온실가스 1,151톤의 절감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에너지도 자급자족하는 시대가 올까
경기도의 한 아파트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경기도 제공
기후변화 싱크탱크 기후솔루션이 올해 4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기후변화·에너지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92.6%가 전반적인 재생에너지 확대에 찬성했다고 해요.
온실가스 감축으로 기후위기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46.4%), 석유·가스 등 해외에서만 나오는 화석연료 수입을 줄일 수 있다는 점(19.2%)이 주된 장점으로 꼽혔습니다.
정유민씨는 "한국 사람들이 땅이 있으면 상추도 심고, 고추도 심고 뭔가 생산하는 경우가 많은데 앞으로는 더 많은 지자체에서 태양광 지원을 해줘서 '베란다 있으면 태양광 생산한다'는 인식이 생기면 좋겠다"고 했는데요.
기후정치바람이 올해 4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집이나 땅이 있다면 태양광 설비를 설치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어요.
다만 실천을 못 한 이유로 '비용 부담이 크다'(24.6%)와 '방법을 모른다'(13.6%)가 꼽힌 것을 보면, 지자체 보조금 지원이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먹거리를 자급자족하듯,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각자 쓰는 에너지도 직접 생산하고 아껴 쓰는 문화가 더 확산되길 바라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